고백하건대, 서울에서 났지만 경상도 집안에서 경상도 사람들에게 포위되어 자란 나는 꼴 마초에 가깝다. 그러니, 페미니즘 미술에 대해서도 정치적으로는 지지해도 개인적인 취향으로는 전혀 친하고 싶지 않았다. 페미니즘 미술가들의 문제의식과 진정성을 모를 바가 아니나 그런 미술을 즐기고 싶진 않은 탓이다. 윤석남 화백 작품만은 예외였지만. 주디 시카고? 신디 셔먼? 유명하고 중요하다고 하니 작품을 보기는 봤는데, 속으로는 ‘너무 윽박지르는 것 같아’서 부담스러웠다. 그런 센 미술보다는 보기 편한 미술이 더 좋았다. 프리다 칼로? 피가 뚝뚝 떨어지는 출산현장을 그린 그림을 집에 걸어놓고 싶은가? 마돈나는 그런 모양이다. 칼로의 그림을 사갔다니. 나는 전혀 그러고 싶지 않다. 페미니즘 미술계 최고의 스타이자 대모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