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 가구의 세계

독자 김정현씨가 전주에서 눈여겨 본 것들 2008/01/08

딸기21 2018. 7. 22. 19:36

전주란 도시 좋아하시는 분들 많으시지요?


저는 이상하게도 아직 전주에 못가봤습니다. 친척들이 모두 경상도에 사니 갈 일이 없는 탓이 큽니다만 그럼에도 전주에 한번도 못가본 것은 좀 묘하네요. 더 먼 광주에는 취재에 여행에 7~8번은 찾아갔는데 말입니다.


그러다보니 개인적으로 꼭 가보고 싶은 도시 1순위가 전주입니다. 한옥마을이 있는 것이 가장 큰 이유입니다. 그리고 원조 전라도 한정식과 비빔밥, 콩나물해장국을 먹고 싶어서가 그 다음 이유입니다. 올해에는 꼭! 가봐야겠습니다.


그런데, 제가 전주 한옥마을에 관심이 있는 것을 아셨는지, 얼마전 반가운 메일이 날아왔습니다. 전주 한옥마을에 있는 ‘거리 가구’(스트리트 퍼니처)를 소개, 분석한 메일이었습니다. 대학생 김정현씨가 전주 한옥마을을 방문해 거리가구들을 살펴보시고 정리한 리포트를 보내오셨습니다. 소비자주거학을 전공하시는 분이어서 이런 거리 공공기물 디자인을 답사해 조사하시고 리포트를 쓰신 모양입니다.


이 멋진 리포트를 소개합니다.


1. 공공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인식


해외여행이 일반화 된 요즘, 외국을 나가는 것은 이제 흔한 것이 되어버렸다. 특히 디자인 선진국인 유럽과 북미지역 그리고 일본을 다녀온 사람들이 많이 인식하는 것은 공공디자인의 아름다움 일 것이다.


파리 같은 경우는 1800년대부터 도시의 건축 디자인과 공공디자인은 심사하고 규제하여 지금의 아름다운 도시를 만들었다. 반면 우리나라는 1950년대부터 산업화와 공업화가 시작되어 이제야 디자인에 대해 눈을 뜨고 있는 실정이다.


서울시는 이제 아파트 디자인을 규제하는 법안을 마련 중이고 시민들을 대상으로 공공디자인에 대한 공모전도 개최하고 이와 관련된 박람회도 열고 있다. 또한 디자인 거리를 조성하는 계획을 마련해 놓고 이를 추진 중에 있다. 선진국 보다는 늦었지만 그것은 역사적 흐름에 있어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 이제는 우리의 경제력이 높아지고 사람들의 문화인식 수준이 올라감에 따라 자연히 공공디자인에 대한 관심도 올라가고 있다.


이번 답사를 통해 공공디자인, 그 중에서도 Street Furniture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던 전주 한옥마을의 Street Furniture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우리의 전통과 정체성을 재발견한 전주의 Street Furniture


대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회색의 무미한 가로등인 아닌 우리 전통의 패턴과 조명디자인을 사용하였다.



도시에 있는 오브제를 우리의 전통 마을의 입구에서 볼 수 있는 천하대장군과 지하여장군을 형성화 하여 만들었다.



교통 신호 제어기에도 우리의 전통 건축의 지붕을 씌어서 한국적 아름다움을 보여주려고 시도하였다. 그러나 플라스틱 소재가 완성도를 떨어뜨렸다.



쓰레기통의 디자인에도 우리의 전통적 모습을 찾을 수 있다. 우리 창호의 무늬를 차용해 디자인된 쓰레기통과 위의 재떨이는 충분히 아름다웠다.



거리의 이정표에도 아름다운 디자인이 가미되었다. 글자의 폰트부터 붓글씨 폰트를 사용하였고, 이정표의 판은 한국 전통 건축의 박공부분을 보는 듯하다. 위에 있는 조형의 구름과 새의 패턴도 한국적 이미지를 사용하였다.



관광 안내판은 그동안 전국 유적지에 있던 안내판과는 다른 모습이었다. 이전의 안내판은 한옥지붕을 설치한 획일적인 안내판이었으나 이것은 전통의 이미지를 차용하여 좀 더 현대화 시켰다. 패턴과 곡선의 이미지가 아름다운 조화를 이룬다.



길거리에 있는 변전함에도 작은 변화가 생겼다. 이전의 것은 그냥 밋밋한 회색의 페인트칠로 마감되었으나 이곳의 변전함에는 한국의 무늬와 전주시의 상징물이 패턴화 되어있다.



거리의 오브제로 풍요와 기원의 상징인 민가의 솟대를 가져왔다. 주변 건축물과 잘 어울릴 뿐만 아니라 보는 이로 하여금 신선한 재미를 준다.



대부분의 도시는 인도와 차도의 경계로 가로수를 심는다. 그러나 이곳은 우리의 전통 조경의 방지를 차용한 수반을 사용하였고 그 안에 연꽃을 띄어서 한국적 느낌을 가득 내뿜고 있었다.



근대 이전의 우리나라에서는 왕이나 일부 관리직에 있던 사람을 제외하고는 의자를 사용하던 사람이 없었다. 그래서 거리의 벤치는 한국적 이미지 보다는 주변의 목재건축물과 어울리는 자연스러운 벤치가 놓여있었다



또 다른 벤치는 거리에 듬성듬성 있는 그루터기를 연상시키는 돌로 디자인되었다. 이것역시 의자의 문화나 디자인이 발전되지 않았던 우리나라 상황을 대변하듯이 그냥 주변과 무난하게 어울리는 자연적 요소를 사용하여 디자인되었다.


3. 새로운 가능성의 발견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요즘 우리나라에서는 전반적으로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보수적이 여서 발전의 속도가 늦은 공공디자인에서도 그 변화의 바람은 같이 일어나고 있다.


이번 전주 한옥마을 답사에서 발견하였듯이 우리의 공공디자인은 조금씩 발전해나가고 있다. 이전에는 전국의 모든 도시가 획일적인 디자인의 공공디자인 특히 Street Furniture를 사용하였었다. 그러나 이제는 각 도시가 각 도시의 이미지에 맞는 다양하고 개성 있는 Street Furniture를 사용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전주는 전주의 이미지에 맞는 ‘전통’이라는 요소를 사용하여 현대적 감각에 맞는 Street Furniture를 디자인하여 설치해 놓았다. 재정적인 문제로 약간은 아쉬운 부분이 있지만 이러한 작은 시도 하나하나가 모여 아름다운 거리, 아름다운 도시, 아름다운 한국을 만들 것이라고 생각한다. 공공디자인, 그중에서 Street Furniture에 부는 아름다운 변화를 발견한 전주에서 한국의 공공디자인에 대한 밝은 미래를 가늠해본다. 이러한 변화의 바람이 전주와 서울뿐만이 아니라 전국 방방곳곳에서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PS. 나중에 자료를 더 찾아보니 변전함이나 교통신호 제어기 같이 일반 시민들이 직접 사용하지 않고 경찰관이나 공무원들만 사용하는 공공기물들의 디자인은 가능하면 눈에 띠지 않는 것이 더 잘 된 디자인이라고 합니다. 



이상이 김정현씨가 보내주신 글입니다.  깔끔하게 잘 분석, 정리하셨다고 생각합니다.


전주의 스트리트 퍼니처는 김정헌씨가 지적하셨듯 새로운 시도로서 좋은 평가를 받을만 합니다. 물론 극복해야할 점들도 보여줍니다.


많은 분들이 피부로 느끼셨을 문제가 우리 거리의 여러 공공기물들의 디자인일 것입니다. 그동안 아쉬움이 많았는데, 요즘 들어 디자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면서 개선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전주 한옥마을처럼 고유의 정체성을 지닌 문화적 지역은 더욱 신경써야 할 것입니다. 보내주신 메일을 보면서 안동 하회마을이 떠올랐습니다. 하회마을의 한옥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튀는 디자인의 가로등이 들어서 무척이나 안타까웠습니다.


보시고 느끼셨겠지만 한옥과 어울리는 디자인을 시도한 점은 훌륭합니다. 그러나 전주 역시 아직까지 어딘가 약간 어색하기도 하고 자연스럽지 않아 보이기도 합니다. 이는 공공디자인이 반드시 거칠 수 밖에 없는 시행착오라고 하겠습니다.


우리와 건축이 비슷한 일본의 경우, 전통 일본건물들과 어울리는 디자인을 찾는 실험을 일찍부터 해왔습니다. 일본 건축에는 일본 전통건축을 현대건축과 접목시켜 전통을 계승하는 장르가 따로 있는데 이를 화풍(和風)건축이라고 부릅니다. 서구 문물이 몰려오던 시기 건축계 내부에서 자생적으로 생겨난 장르로 100년 가까운 역사를 지녔습니다. 


이 화풍건축에서 중요한 분야 가운데 하나가 이런 전통 디자인을 있는 건물과 어울리는 다양한 기물들을 디자인을 하는 것입니다. 일본적 특색을 담아 일본식 건축물과 잘 어울리는 디자인을 찾는 작업이지요.


이게 간단해보여도 오랜 시험과 시행착오를 거쳐야 단순하면서도 자연스러운 디자인이 나오게 됩니다. 우리는 이제 시작이니 앞으로 갈 길이 멀겠지요.


어쨌든 이런 시도들이 쌓여야 앞으로 우리 도시의 거리 가구들도 고유의 문화적 특성을 잘 보여주면서 어색하지 않게 거리와 어울릴 수 있을 것입니다. 전주의 거리가구들은 분명 아직은 아쉬울 수 있습니다. 이 시도들이 진화해 전주를 대한민국에서 가장 멋진 거리가구가 있는 도시로 만들어주기를 기대해 봅니다.


글 보내주신 김정현씨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다른 분들께서도 거리가구에 대한 사진이나 글을 보내주시면 열심히 소개하겠습니다.